본문 바로가기
학습코칭과 공부방법

성적이 오르지 않는 진짜 이유 : 학습 속도 차이 분석

by 스마트개미학습코치 2025. 4. 23.
반응형

성적이 안 오르는 진짜 이유,

‘이 속도’ 때문일 수 있어요

공부의 양보다 중요한 건

‘얼마나 빠르게 흡수하는가?’입니다

“공부 열심히는 하는데, 성적이 그대로예요”
“학원도 다니고 문제도 푸는데 왜 안 오를까요?”

부모님들이 제일 많이 하시는 질문입니다.
그리고 그럴 때 제가 꼭 묻는 게 하나 있어요.

“혹시, 아이가 이해하는 속도는 확인해보셨어요?”

공부는 누가 더 많이 하느냐가 아니라
누가 더 빨리 이해하고 오래 기억하느냐의 싸움입니다.
이걸 모르고 계속 ‘양만 늘리면’
결국 지치고, 공부가 더 싫어지게 돼요ㅠㅠ

오늘은 성적이 오르지 않는 이유를
학습 속도 차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해보고,
그에 맞는 공부 전략 & 대화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.

이거 알면,
공부 방법이 완전히 달라집니다.

1. 이해는 느린데, 문제풀이만 빠른 아이

📌 이런 아이는 설명 듣는 속도가 느려서 수업을 다 따라가지 못해요.
근데 문제만 많이 풀면 될 줄 알고 무작정 양만 늘리죠.

🎯 해결 전략:

  • 수업 내용을 음성 녹음해 반복 듣기
  • 개념 한 단원씩 영상 강의로 ‘다시 보기’
  • 스스로 요약 → 부모님에게 1분 발표

→ 이해 속도를 올리는 루틴부터 세팅해야 합니다!


2. 이해는 빠른데, 정리 속도가 느린 아이

📌 개념은 바로 이해하지만 노트가 지저분하거나,
정리 자체가 부족해서 ‘복습이 안 되는’ 유형이에요.

🎯 해결 전략:

  • 필기보단 도식화(마인드맵, 차트) 방식 추천
  • 공부 후 “오늘 배운 거 3줄 정리” 일기 작성
  • 요약 노트는 한글보다 도형·키워드 위주로

→ 정리를 ‘보여주기’보단 ‘기억하기’ 중심으로 전환!


3. 문제 푸는 속도가 느린 아이

📌 이해도 괜찮고 정리도 잘했는데,
시험 보면 시간 모자란다?
이건 문제풀이 속도 자체의 문제!

🎯 해결 전략:

  • 타이머 두고 문제 푸는 연습 (25분 제한)
  • 틀린 문제보다 ‘시간 걸린 문제’ 표시해서 다시 풀기
  • 속도보다 정확도 우선, 그 후 점점 타이트하게 조정

→ 느리게 맞추는 연습 → 빠르게 정확하게로 진화!


4. ‘속도 차이’를 인정하고, 스타일대로 계획 짜기

📌 계획표를 1시간 단위로 딱딱 맞추는 건
느린 학습자에겐 무리한 방식이에요.

🎯 루틴 조정 팁:

  • 과목별 시간보다 ‘단원 or 문제 수’ 기준 계획
  • 복습 시간을 항상 2배로 확보
  • “언제까지 끝내라”보다 “이 페이스로 해보자”로 말하기

5. 속도보다 ‘잔상’을 남기는 공부

📌 성적은 사실 ‘속도’보다도
얼마나 오랫동안 머릿속에 남느냐가 더 중요해요.

🎯 전략 예시:

  • 공부 끝난 후 “한 문장으로 오늘을 정리해보자”
  • 어려운 개념은 그림, 비유, 이야기로 재해석
  • 3일 후, 7일 후 복습 루틴(망각곡선 활용)

→ 잔상이 강한 공부가 결국 성적을 바꿔요.


6. 부모의 말투도 ‘속도 인정형’으로 바뀌어야 해요

📌 가장 흔한 말이 “왜 그렇게 오래 걸려?”인데,
이게 아이 자존감을 쭉 깎습니다ㅠ

🎯 대화법:
“너는 너만의 속도로 이해하는 중이야.
중요한 건 그걸 놓치지 않고 가는 거야.”

→ 아이 속도에 맞춰주는 부모가
아이 뇌에 안전감을 줍니다.

공부 속도, 성적을 바꾸는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

  1. 이해가 느리면 → 반복 듣기 + 발표 요약
  2. 정리가 느리면 → 도식화 + 3줄 요약
  3. 풀이가 느리면 → 타이머 학습 + 시간 감각 훈련
  4. 계획은 ‘속도 스타일’에 맞춰 짜기
  5. 기억에 남는 공부 방식 만들기
  6. “왜 느려?”가 아니라 “잘 가고 있어”로 말 바꾸기

속도는 잘못이 아니라 특성입니다.
그리고 공부는, 그 특성에 맞게 설계할 때
비로소 뇌가 진짜 움직이기 시작합니다.


혹시 여러분 자녀는 어떤 ‘학습 속도’에 가깝나요?
그에 맞춰 바꿔본 공부법이 있다면 댓글로 나눠주세요!
오늘 글, 공유하시면 진짜 도움 될 분들 많을 거예요 😊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