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학습코칭과 공부방법

고1 생기부 세특 키워드 총정리! 실제로 적용되는 예시까지

by 스마트개미학습코치 2025. 6. 14.
반응형

고1 생기부 세특 키워드 총정리!

실제로 적용되는 예시까지 다 보여드립니다

 

세특에 쓸 말이 없어요…
혹시 이런 말 해본 적 있으신가요?

“그냥 수업 들었고, 딱히 특별한 건 없었는데요…”

이거 정말 자주 듣는 말이에요. 근데 다 방법이 있어요 😎

사실 세특은 거창한 활동이 아니라
어떤 방식으로 참여했고, 어떤 질문을 가졌고,
무엇을 배웠고, 어떻게 확장해봤는지

그걸 간단한 키워드 몇 개로 연결만 잘하면 돼요.

예를 들어 “탐구”라는 키워드 하나만 가지고도
단순히 실험했다 → 질문을 설정했다 → 결론에 이르렀다

이런 흐름으로 쓰면 ‘생각이 보이는 학생’이 되는 거죠!

그래서 이번 글에서는

🔹 자주 쓰이는 고1 세특 키워드
🔹 평가자들이 좋아하는 확장 표현
🔹 실제 적용 예시까지 몽땅 모아서 보여드릴게요!

 

① 참여형 키워드: 적극성, 주도성, 기여도

세특에서 기본이 되는 건 역시 수업 참여 태도예요.
근데 단순히 “열심히 참여함”으로는 평가자 눈에 안 들어와요.
→ "토론의 흐름을 정리하고 발표를 주도함으로써, 의견 조율의 중요성을 체득함"
→ "역할극 활동에서 팀 내 발표 구성안을 설계하며 주도적으로 기획력을 발휘함"

주도성, 설계, 기획, 발표 구성, 흐름 조절 같은 키워드가 좋아요.

 

② 탐구형 키워드: 질문, 실험, 가설, 비교, 분석

고1 수준에서도 “탐구”는 충분히 보여줄 수 있어요.
→ "‘태양의 고도’ 단원에서 시간별 그림자 변화 관찰을 통해,

가설 검증 과정을 체험하고 탐구 보고서를 작성함"
→ "‘균형 잡힌 식단’ 학습 후, 급식 식단을 분류하며 식품군별 영양소 비율 분석 활동 수행"

가설 설정, 비교 관찰, 실험 설계, 도출, 재해석 등 활용해보세요!

 

③ 사고형 키워드: 연결, 재해석, 관점 전환

입학사정관들이 가장 좋아하는 건 “사고의 흐름”이에요.
→ "『오셀로』 속 인물의 감정 변화를 주체-객체 관점으로 재해석하며, 인물 해석 방식에 대한 시각을 확장함"
→ "수요곡선 이론을 온라인 쇼핑 사례에 적용하며 이론과 현실 간 간극을 체감함"

시각 확장, 관점 비교, 개념 전환, 실제 적용 키워드 넣으면 좋아요.

 

④ 협업형 키워드: 역할 분담, 조율, 의견 수렴, 피드백

요즘은 혼자 잘하는 것보다 ‘같이 잘한 경험’이 더 중요해요.
→ "조별 프로젝트에서 자료 조사와 발표 PPT 제작을 맡으며
정보 선정 기준에 대한 팀 내 합의를 주도함"
→ "상반된 주장 간 공통점을 정리하며 중재자의 역할을 수행함"

협의, 조정, 중재, 합의 형성, 피드백 수용 키워드 적극 활용해보세요.

 

⑤ 진로연계형 키워드: 연계, 확장, 진로탐색

진로가 확정되지 않아도, 관심이 드러나는 문장은 강력해요.
→ "심리학에 흥미를 느껴 ‘기억력 실험’ 결과를 추가 조사하며
인지심리의 기초 개념에 대한 관심을 확장함"
→ "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탄소중립 관련 영상 콘텐츠를 비교 분석함"

관심 확장, 진로 탐색, 자료 비교, 주제 연계 키워드 좋아요!

 

⑥ 디지털 기반 키워드: 디지털 교과서, 콘텐츠 활용, 자료 분석

2025학년도부터 디지털 교과서 본격 도입되면서 이런 키워드는 강력한 무기예요.
→ "디지털 사회 수업에서 AR 기반 인구 이동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
정책 변화 전후의 인구 밀도 변화를 시각화함"
→ "TED 영상 콘텐츠를 듣고, 주제를 요약하고 자신의 생각을 PPT로 정리해 발표함"

디지털 자료 해석, 콘텐츠 분석, 도구 활용, 시각화 키워드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해요!

 

 

세특 키워드, 이런 질문들 정말 많아요

📌 그냥 수업 들었는데 뭘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
→ 수업에서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다면 그게 바로 ‘핵심 키워드’가 될 수 있어요.
발표? 질문? 조사? 친구와 대화? 어떤 장면이든 생각이 생긴 순간을 떠올려보세요!

📌 활동은 평범한데 키워드로 어떻게 살릴 수 있나요?
→ ‘분석했다’, ‘비교했다’, ‘의견 조율했다’ 이런 표현 하나만 바꿔도 인상이 달라져요.
단어를 바꾸면 내용이 살아나요.

📌 진로가 없어서 쓸 게 없어요
→ 진로보다 흥미 확장에 집중해보세요.
“이 수업이 왜 재밌었는가?” → “다른 자료를 찾아봤는가?”
→ 이 흐름만 잘 만들어도 평가자 눈엔 충분히 보입니다!


생기부 문장은 결국 키워드 조합이에요

처음엔 막막할 수 있어요.
근데 키워드 몇 개만 손에 익히면
진짜 쉽게 “세특처럼 보이는 문장”을 만들 수 있어요.

단순히 “잘함, 열심히 함” 대신
🔹 ‘분석’, ‘탐구’, ‘확장’, ‘적용’, ‘성찰’
이런 표현으로 말만 바꿔도 확 달라져요 😊


지금 가장 떠오르는 활동 하나만 골라볼까요?

지금까지 배운 과목 중
“이건 재밌었는데…”, “여기서 질문 생겼었는데…” 싶은 수업이 있나요?
그게 바로 키워드를 넣을 수 있는 포인트예요.

지금 떠오른 장면, 주제, 활동
댓글이나 DM으로 보내주시면
제가 키워드 정리 + 문장 구조로 바꿔드릴게요 🙌


반응형